티스토리 뷰

 

ㅁ에어레인 주식 분석: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분야의 혁신 기업

 

 

개요 및 실적

 

에어레인은 1999년 설립된 수소 제조 및 탄소 포집 기술 전문 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탄소 포집 플랜트를 설계·구축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수소 제조: 천연가스를 원료로 수소를 제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촉매를 활용하여 높은 수율과 낮은 불순물 함량을 달성했습니다.

 

2.탄소 포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독자적인 건식흡수제(ADM)를 기반으로 한 공정을 구축하였으며, 대규모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448억 원,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한 3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탄소중립 정책 강화와 함께 국내외에서 탄소 포집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입니다.

 

2023년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탄소 포집 실증 사업인 '서부발전 태안 #9 CCUS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연간 7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예정이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도 탄소 포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매출 및 개요

 

- 주요 매출원은 탄소자원화 부문과 기타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2022년 기준 각 부문의 매출 비중은 탄소자원화 부문이 96.8%, 기타 부문이 3.2% 입니다.

 

- 탄소자원화 부문은 주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설비 구축과 관련된 용역 제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발전소, 제철소 등 대형 이산화탄소 배출원을 대상으로 하는 CCS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최근에는 블루수소 생산설비 구축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판매하거나, 이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2023 6월 말 기준 최대주주는 하성용 대표이사이며, 지분율은 28.97%입니다. 소액주주 비율은 56.88% 이며, 5% 이상 주주는 자사주로 9.9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성과 확인

 

- 2023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7%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8억 원으로 흑자전환 하였습니다.

 

- 당기순이익은 7억 원으로 역시 흑자 전환하였으며, 이는 탄소자원화 부문의 매출 증가와 원가율 개선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에어레인의 향후 성장세가 기대 되고 있습니다.

 

 

 

재무상태 분석

 

- 2023 2분기 기준 자산총계는 332억 원이며 부채 총계는 117억 원, 자본 총계는 215억 원 입니다.

 

- 최근 3년간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 하였으며 2022년 영업이익은 10억 원으로 흑자 전환하였습니다.

 

- 2023년 반기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은 15억 원이며 투자활동현금흐름은 –11억 원, 재무활동현금흐름은 0.6억 원입니다.

 

 

 

 

 

 

 

산업 동향

 

- 에어레인은 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국내외에서 해당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정부가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기업들도 수소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어 에어레인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

 

- 에어레인은 꾸준한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을 통해 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 대표적인 기술로는 '메탈 하이브리드 멤브레인(Metal Hybrid Membrane)'이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멤브레인 기술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주며, 수소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또다른 기술인 '습식 CO2 포집 기술'은 대규모 탄소 포집에 적합하며, 재생에너지와 결합하여 탄소 중립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 에어레인은 국내외에서 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 해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아 미국, 유럽, 중동 등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였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경영진의 전략

 

- 적극적인 R&D 투자: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매출액의 20% 이상을 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국내외 시장 확대:국내외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신기술 개발: 기존 기술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책 및 법률적 요소

 

- 정부의 지원 정책: 정부는 에어레인의 수소 생산 기술을 미래 유망 기술로 선정하고,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연구개발비 지원, 세제 혜택, 공공기관 입찰 시 가산점 부여 등이 있습니다.

 

- 환경 규제 강화: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각국에서는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는 에어레인의 수소 생산 기술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 입니다.

 

 

 

기타 주요 요인

 

- 환율 변동: 에어레인은 해외에서 수소 생산 장비를 수입하고, 수소를 수출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민감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에어레인의 수입 비용이 증가하고, 수출 수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금리 변동: 금리가 상승하면 에어레인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투자 및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금리가 하락하면 자금 조달 비용이 감소하고, 기업의 재무상태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국제 정세의 변화나 지역 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는 에어레인의 경영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동 지역의 분쟁이 심화되면 에어레인의 수소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는 항상 리스크와 수익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에어레인 주식 분석: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분야의 혁신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