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ㅁ쏠리드 주식 분석: DAS · O‑RAN 기반 무선·광통신 솔루션의 전문 개발·제조 기업
개요 및 실적
쏠리드는 1984년 설립된 통신장비 제조 업체로, 국내 이동통신 3사와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주요 통신사에 무선 통신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력 제품으로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비인 RRH(Remote Radio Head)와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등이 있습니다.
2022년 쏠리드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31.6% 증가한 4,318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 전환한 31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국내외 통신사의 5G 투자 확대와 함께 주력 제품인 RRH와 DAS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성과가 돋보였습니다.
미국 현지 법인인 SOLiD Gear는 2022년 미국 주요 통신사인 Verizon과 AT&T로부터 대규모 수주를 받으며 매출액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고, 이로 인해 쏠리드의 전체 실적 개선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2023년에도 쏠리드는 국내외 통신사의 5G 투자 지속과 더불어 미국 시장에서의 추가적인 수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매출 및 개요
무선 통신장비 제조업을 영위중이며, 중계기와 유선전송장비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중계기사업부문 : 이동통신사업자들의 LTE투자확대에 따른 동반성장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5G투자에 따른 수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유선전송장비사업부문 : 광전송장비를 KT, LGU+ 등 국내 주요 통신사업자에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2005년 미국현지법인과 2006년 영국현지법인을 설립하여 북미와 유럽지역의 해외 유수 통신사업자에게 DAS와 ICS중계기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매출구성은 수출 86.85%, 내수 13.15%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성과 확인
2022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했습니다.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의 투자 확대 지속되며 주력인 무선통신장비 매출 호조세 이어졌고, 자회사 실적 개선 역시 외형 성장과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해외에서는 북미, 유럽, 일본 중심으로 DAS/IMT 장비의 매출 확대가 기대되며, 국내외 5G 투자 Cycle 도래로 인한 인빌딩 솔루션 시장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재무상태 분석
당기말 현재 유동자산 1,099억원, 비유동자산 2,192억원으로 자산총계 3,291억원 입니다.
유동부채 899억원, 비유동부채 904억원으로 부채 총계 1,803억원이며 자본금은 366억원, 자본잉여금 1,345억원, 이익잉여금 -168억원으로 자본총계 1,488억원 입니다.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회수 지연과 금융비용의 증가로 인해 당기순손실이 발생했으며, 자기자본비율 46.0%로 전기말 대비 6.9%p 하락, 부채비율은 121.8%로 전기말 대비 32.5%p 상승하였습니다.
산업 동향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의 5G 투자 확대로 인하여 무선통신장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미, 유럽, 일본 등 해외시장에서의 매출 확대를 위하여 현지 법인 설립 및 마케팅 강화를 추진 중이며,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제품군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사업 참여를 통해 유선 장비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
무선통신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이동통신 중계기와 유선 전송장비의 개발과 제조에 주력하고 있으며, 국내 이동통신 3사와 미국, 일본, 유럽 등지의 주요 통신사업자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은 분산안테나시스템(DAS), 오픈랜(O-RAN), 스몰셀(Small Cell) 등의 신제품 개발과 기존 제품군의 성능 개선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핵심 기술의 내재화와 기술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세계 각국의 무선통신 인프라 투자 확대와 더불어 북미, 유럽, 일본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하며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연결 매출액의 6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였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현지 법인과 대리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제품의 설계와 생산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5G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경영진의 전략
국내외 통신사업자와의 오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기술력과 노하우를 축적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사의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술 개발과 함께 경영 효율화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고정비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고객과의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책 및 법률적 요소
정부의 5G 네트워크 구축 정책에 따라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쏠리드의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각국 정부가 통신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어 해외 시장에서의 기회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법률적 요소로는 국내외 통신 관련 규제가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는 쏠리드의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경영진은 규제 동향을 주시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기타 요인 (환율, 금리, 지정학적 리스크)
원달러 환율 변동은 수출 비중이 높은 쏠리드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쏠리드의 자금 조달 및 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변수 입니다. 예를 들어, 북한의 핵 위협이나 중국과의 갈등이 심화될 경우, 국내 통신산업의 발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쏠리드의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쏠리드의 주식 분석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도 5G 네트워크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쏠리드의 주가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주식투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하시길 바라며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 투자는 항상 리스크와 수익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